728x90
반응형
SMALL

분양가 40

비싸다고 욕했는데...결국 찍었다 이 가격, 우리집 어쩌나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120만원분양 물량 줄어든 가운데 강남 '래미안 원페를라' 영향올해 들어 아파트 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지난달 전국의 아파트 월 평균 분양가가 처음으로 3.3㎡당 30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12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2월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120만원이었다. 월별 평균 분양가가 3000만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월(1628만원)과 비교해 한달 새 약 2배 가까운 상승이며 이전 최고 분양가인 2024년 8월(2474만원)과 비교해도 600만원 이상 높다.2월에 평균 분양가가 크게 상승한 것은 전국적으로 분양 물량이 대폭 감소한 가운데 분양가가 높은 강남권에서 신규 분양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집사의 부동산 2025.03.12

“금값에서 다이아몬드로”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지역도 억대 급등

-올해 1월 수도권 분양가, 1년전 대비 12% 넘게 급등-분상제 적용 공공택지도 최대 20% 가량 분양가 치솟아-파주, 양주 등 경기북부 저평가 지역 반사이익최근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가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분양 시장 곳곳에서는 이미 “이제 금값이 아니라 다이아몬드 값이 될 판”이라는 말도 나온다. 자재비와 공사비 상승 탓에 공공택지(분양가 상한제) 지역의 분양가도 급등할 것으로 전망되며, 실수요자들은 물론 투자자들까지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으로 수도권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2815만원으로 나타났다. 1년 사이 12.3% 오른 것으로,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9억8000만원에 달한다. 현재 고환율에 따른 인플레이션, 국내외..

집사의 부동산 2025.03.12

‘악성 미분양’ 11년만에 최대 찍었는데… 분양가는 더 오른다

1월기준 전국 2만2872가구전체 물량의 80% ‘지방쏠림’내달부턴 분상제 상한 높아져부동산 수요 적체 심화 우려최상목 “시장동향 적극 관리”지방을 중심으로 다 짓고도 팔리지 않는 주택이 늘면서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이 11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며 연초 인허가·착공 등 주택 공급 선행지표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공사비가 오르는 가운데 미분양이 쌓이며 도산 위기에 몰리는 지방건설사 수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28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만2624가구로 집계됐다. 전월(7만173가구)과 견줘 3.5% 늘었다. 증가분은 수도권에서 쏟아졌다. 경기 평택에서 미분양이 대거 발생해 경기 ..

집사의 부동산 2025.03.01

“‘얼죽신’은 오늘이 제일 싸다고 했잖아요~ 그러게 왜 안믿어요”

신축 아파트 분양가, 15년만에 매매가 ‘역전’…공사비·금융비용 상승이 주요 원인지난해 서울 강남구 A아파트 단지는 신축 분양 당시 평당 5000만 원으로 책정되어 주목받았다. 이는 15년 만에 기존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평당 4800만 원)을 웃도는 금액이었다. 이 같은 현상은 분양가 상한제가 유명무실화되면서 나타난 것이다.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이 짙어지면서 분양가가 기존 주택 매매가격을 뛰어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신축 아파트 평균 분양가격이 15년 만에 평균 매매가격을 역전했다. 이는 현 정부 들어 분양가 상한제가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데다, 고금리와 자재비·인건비 상승이 맞물리며 분양가가 큰 폭으로 오른 데 따른 결과다. 3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

집사의 부동산 2025.01.31

"당첨되자마자 입주, 돈 구하기 빠듯해"…강남 신축 아파트의 비밀

분양가 상한제 적용받는 강남3구공시지가·건축비 상승에 분양 미뤄분양부터 입주까지 통상 3년…강남은 1년 안팎"자금조달 부담"…청약 대기자들은 부담"서울 강남 쪽 아파트는 분양하고 바로 입주하는 느낌이에요."최근 시장에 떠도는 이 같은 소문처럼 강남권 신축 단지의 경우 분양에서 입주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재건축·재개발 조합이 분양가를 높이기 위해 최대한 분양 일정을 미룬 결과다. 조합들은 분양 일정을 최대한 늦춰도 청약이 완판(완전 판매)되는 상황을 이용하고 있다. 분양에서 입주까지 기간이 짧아지다 보니, 청약 대기자들은 막대한 자금을 빠른 시한 내 마련해야 한다. 강남 새 아파트 입성의 벽이 더욱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집사의 부동산 2025.01.09

반포·잠실·방배 분상제 아파트 뜬다

전문가 10인 주목한 새 아파트래미안 원페를라·잠실 르엘등 꼽아강남권·압구정·여의도·한남도 주목3기 신도시·수도권 공공택지분양도올해 전국 아파트 14만6000여 가구가 분양 예정인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은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강남3구(서초·강남·송파구)’와 용산구 등 서울 선호지역에서 공급되는 아파트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달 청약이 진행되는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를 비롯해 ‘잠실 르엘’, ‘래미안 트리니원’,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등 이른바 로또청약이 예상되는 단지들이 언급됐다.6일 헤럴드경제가 부동산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수요자들이 2025년 가장 주목해야 할 분양단지와 지역’을 물은 결과, 이들 대다수는 서울 내에서도 상급지로 분류되는 강남권과 압구정·한남·..

집사의 부동산 2025.01.07

“서울 집값 내년에 떨어졌다가 2026년부터 다시 상승"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대출규제·정국불안에 수요위축서울 집값 '1~3% 하락' 25%로 가장 많아전·월세, 분양가는 상승 가능성다만 공급부족에 2026년 이후 재상승서울 집값이 내년 상반기에 1% 이상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출 규제와 매수 수요 위축, 정국 불안 등으로 내년 상반기에 조정기를 거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30일 서울경제신문이 건설주택포럼·건설정책연구원에 의뢰해 부동산·건설 개발 전문가 75인을 대상으로 ‘내년 주택 시장 전망’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내년 상반기까지 서울 지역의 주택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는 답변이 38.6%로 가장 많았다. 1~3% 하락할 것이라고 본 응답자는 25.3%, 3~5% 하락할 것이라는 답은 17.3%로 집계됐다.응답자들은 ‘매수 수요 및 ..

집사의 부동산 2024.12.31

'똘똘한 한 채' 위해 몸테크 불사?…재건축 단지 '신고가' 속속

대출규제에 탄핵정국까지…부동산 시장 한파 거센데목동1단지 이달만 신고가 거래 3건…4·5단지도 손바꿈여의도시범·잠실주공5단지에 46년차 은마도 기록 갱신분양가 치솟고 청약경쟁도 역대급…몸테크 고개 드나 고강도 대출규제에 이어 탄핵정국까지 겹치며 서울 부동산 시장에 한기가 감도는 최근 핵심 입지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단지에선 연일 신고가 거래가 쏟아지며 이목이 쏠린다. 치솟는 공사비에 분양권이 몸값을 높인 데다 어지간한 가점으론 100대 1을 넘나드는 청약 경쟁률을 뚫어내기 어려워지면서 이른바 ‘몸테크’를 감수하면서라도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29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양천구 목동신시가지1단지는 이달 들어서만 세 건의 신고가 거래가 이뤄졌다. 지난 16일 65..

집사의 부동산 2024.12.30

노동력 투입 많은 건물 공사비 상승률, 토목의 2배…"앞으로도 추가 인상 불가피"

■치솟는 건설 공사비우크라戰 등으로 원자재값 급등 속3년간 16% 뛴 인건비가 최대 원인상승률 상위 9곳 중 6곳이 건물공사유가·환율 상승에 증액 지속 전망최근 다수의 건설 현장에서 공사 계약 금액이 대폭 증액된 것은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한 상황에서 인건비까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인건비의 급등세가 계속되면서 노동력이 보다 많이 투입되는 건물 건설의 공사비 증가율이 토목 건설의 두 배가량을 웃돈 것으로 풀이된다.통상 자재비는 공사 원가의 30% 상당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자재비 상승은 공사비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시멘트가 대표적이다. 시멘트는 공사비 원가의 5% 이상을 차지하는 레미콘의 주요 재료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시멘트의 톤당 평균 판매 가격은 202..

집사의 부동산 2024.11.25

'무용론' 높아진 청약 통장…한 달 만 가입자 7만여명 급감

분양가 급등에 시세차익 어렵고시장보다 낮은 금리도 매력 떨어져납입금 상향에 2030은 청약 포기특공물량 소외 4050도 해지러시청약통장 가입자가 한 달 만에 7만 4000여 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일 고공 행진하는 분양가로 부담이 커진 2030세대가 떠나는 가운데 신혼부부·신생아 등 특별공급 물량 증가로 소외감을 느낀 4050세대도 외면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18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671만 9542명으로 9월 말(2679만 4240명) 대비 7만 4698명 줄었다. 이로써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022년 6월 말(2859만 9279명) 이후 2년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청약통장 신규 가입자보다 해지자가 더 많아지면서 총 가입자 수도 빠르게 줄..

집사의 부동산 2024.11.1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