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서울 417

서울 아파트 전세가 하락에도 월세 찾는 이유...전월세전환율 때문

서울 서대문구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월세를 안내하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 주택 월세 거래가 역대 최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49.2%를 기록, 2018년부터 4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 갔다. 월세 거래 증가는 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대출을 줄이려는 심리에 기반한 것으로 보인다.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남았기 때문이다. 금리가 전월세전환율(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하는 비율) 보다 더 높은 상황에서 세입자가 목돈인 전세 대출을 부담스러워하는 이유도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전월세 시장은 세입자가 각자 사정에 맞게 전세 또는 월세를 선택하는 상황이라고 봤다. 아파트 전세, 월세거래 동..

집사의 부동산 2023.03.29

“대출 회수당할뻔” 둔촌주공 계약 앞두고 규제 곳곳 지뢰밭

20일 무순위 당첨자 계약 시작 둔촌주공 대출규제, 실거주의무, 취득세 중과 등 규제 해제 시행 여부 꼼꼼히 확인해야 규제 완화 불발시 당첨자들 날벼락 사진은 서울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 포레온 공사현장.“둔촌주공 계약했다가 대출 회수될뻔했네요. 둔촌주공 포기합니다.” 20일 서울 강동구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당첨자 이모씨는 둔촌주공 무순위 청약 계약을 앞두고 “모르고 계약했다가 큰 일날뻔했다”고 했다. 문제가 된 것은 생활안정자금대출이었다. 이씨는 주택담보로 생활안정자금대출을 받고 있는데, 이 대출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주택을 매수하면 전액 대출을 회수당하고 3년간 대출이 금지된다. 이씨는 “생활안정자금 대출 규제가 풀렸다고 해서 추가 매수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은행에서 6개월마다..

집사의 부동산 2023.03.20

규제완화 덕에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 7개월 만에 올랐다

1월 급매 팔리며 실거래가지수 0.81% 상승…작년 6월 이후 처음 '노도강' 강북권 가장 높은 1.69% 올라…거래 늘어난 2월도 상승 전망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 2천건 넘어 1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건수(계약일 기준)는 총 2천166건으로 2021년 10월(2천198건) 이후 1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 거래량 2천 건을 돌파했다.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연초 부동산 규제완화 등의 영향으로 급매물 거래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하반기 이후 약세를 보여온 실거래가지수도 7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전월 대비 0.81% 상승했다. 실거래가지수가 오른 것은 지난해 6월(0.23%..

집사의 부동산 2023.03.16

서울 아파트 분양가 1년만에 24% 상승…3.3㎡당 평균 3천474만원

연간 기준 3.3㎡당 평균 분양가 3천만원 첫 돌파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지난해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1년 만에 20% 넘게 상승해 3.3㎡당 평균 분양가가 처음으로 3천만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부동산R114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천474만원으로 전년(2천798만원) 대비 24.2%(676만원) 올랐다. 상승률은 2018년(29.8%), 2012년(25.4%)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높다. 2021년(5.7%), 2020년(1.3%), 2019년(-6.8%) 등 최근 수년간과 비교해도 상승 폭이 컸다. 이런 분양가 상승은 큰 폭의 공시지가 상승률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분양가는 택지비와 기본형 건축비에 가산비가 더해져 결정된다. 택지비 책..

집사의 부동산 2023.03.14

전국 아파트 월세액 2년새 25% 올라… 서울 평균 92만원

전세의 월세화 가속… 보증금은 하락대출 금리 상승으로 전세와 월세 보증금은 하락한 반면 월세 부담은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국토교통부 전월세 실거래가 신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 평균 월세액은 65만 원으로 2020년 12월∼2021년 1월 평균 52만 원보다 24.9%(13만 원) 늘었다. 같은 기간 월세 거래량은 5만4490건에서 7만510건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서울 월세액 평균은 85만 원에서 92만 원으로 늘어 100만 원에 육박했다. 월세 보증금과 전세 보증금은 줄었다. 지난해 12월∼올해 1월 전국 아파트 평균 월세 보증금은 1억2224만 원으로, 2년 전 같은 기간(1억3589만 원)보다 10.0% 감소했다. 같은 기간 ..

집사의 부동산 2023.03.02

서울 아파트값 하락폭 3주째 줄어… “규제 완화 영향”

서울 아파트 값 하락 폭이 3주 연속 둔화됐다. 정부가 1·3부동산대책을 통해 규제지역 해제 등 전방위 규제 완화를 한 영향으로 보인다. 1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월 셋째 주(16일 기준)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45%)보다 0.35% 하락했다. 규제지역에서 해제된 노원구가 지난주(―0.70%)보다 0.44% 떨어져 하락 폭이 줄었다. 지난해 말 1%대 하락률을 보였던 중구(―0.44%), 은평구(―0.40%), 마포구(―0.30%) 등도 하락세가 둔화됐다. 동남권에서는 서초구(―0.12%)와 송파구(―0.25%)가 지난주보다 하락 폭이 줄었지만 강남구는 지난주(―0.20%)보다 0.25% 떨어져 하락 폭이 다시 커졌다. 수도권 아파트 값은 지난주(―0.64%)보다 0..

집사의 부동산 2023.02.20

규제 완화에 2월 아파트 분양 전망 소폭 회복

분양전망지수 58.7→71.1 “여전히 분양시장 위축된 상태”2월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이 1월보다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1·3부동산대책에서 분양 규제를 대폭 완화한 영향으로 보인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2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전월(58.7)보다 12.4포인트 오른 71.1로 상승했다고 9일 밝혔다. 분양전망지수는 주택사업을 하는 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 500여 곳을 상대로 분양을 앞뒀거나 분양 중인 단지의 여건을 조사해 발표하는 지수다. 100을 초과하면 분양 전망이 긍정적, 100 미만이면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지역별로 울산(50.0)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상승했다. 서울은 지난달 43.9에서 이달 61.9로 상승했고 인천(39.2→54.5), 경기(48.7→6..

집사의 부동산 2023.02.10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