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입주물량 5

한달새 입주물량 반토막… 아파트 전월세값 더 뛰나

2월 전국 1만9486호 ‘집들이’수도권 3481가구 그쳐… 81%나 ‘뚝’서울, 484가구… 전달 10%도 못미쳐2025년 경기 4만여호 감소… 뇌관여전 “하반기 갈수록 줄어 가을부터 큰영향”이달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잇따라 나오면서 임대차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입주물량 급감이 새 학기 시작 등 계절적 요인과 맞물리면서 전월세 가격을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면서도 3월에는 입주물량이 회복돼 일시적 이슈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올해 연간 아파트 입주물량이 줄어들고,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물량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올해 전월세 시장의 주요 키워드로 계속 거론될 전망이다.◆“이달 수도권 입주, 81.2% 줄어”..

집사의 부동산 2025.02.10

내년 분양·입주물량 모두 급감… 공급 절벽 더 심화

주택 시장 전반 쇼크 예고내년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전국에서 분양하는 아파트가 15만 가구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보다 7만 가구 넘게 줄어든 물량으로,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2000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분양 물량 감소는 몇 년 뒤 입주 물량 감소로 이어져 전세나 월세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내년 국내 주요 건설사 25곳이 전국에서 분양 예정인 아파트가 14만6000여 가구로 집계돼 2000년 이후 최저치로 나타났다.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26만 3000여 가구)도 11년 만에 가장 적어 주택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24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밀집 지역.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내년 전국에서 입주하는 아파트 물량은 올해보다 10만 가구 줄..

집사의 부동산 2024.12.26

"새 임대차법 도입 3년, 세입자들 결국엔…" 전세시장 전망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 수석연구원 인터뷰 "세입자들 벌써 움직인다…내년 서울 전세시장 불안" "서울 내년 입주물량, 올해 대비 3분의 1 수준 급감" "전세 시장은 실수요 위주, 이미 전세난 시작돼"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이 2020년 수준에서 동결된다. 사진=뉴스1 "내년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연간 누적으로 6% 상승할 겁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 수석연구원(42·사진)은 최근 과의 인터뷰에서 "이미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오르는 현상은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이렇게 전망했다. 윤 수석 연구원은 "2020년 7월부터 올해 7월, 약 3년간 전세시장을 정말 '혼돈의 도가니'였다"며 "전셋값 상승이 법을 도입한 데 따른 즉각적인 반응..

집사의 부동산 2023.11.25

분양 올스톱 인·허가도 줄어… "원자잿값 상승에 공사 미뤄"

올해 주택 분양 물량은 지난해와 비교해 절반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건설업체들이 분양 일정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4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1~4월 누계 전국 공동주택 분양 실적은 3만9231가구로 전년 동기(7만8894가구) 대비 5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2만420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42.9% 감소했으며 지방은 1만5025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8.9% 줄었다. 유형별로 일반분양은 2만9039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3.6% 감소했다. 임대주택은 239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68.6% 줄었다. 조합원분은 7798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0.3% 감소했다. 주택 인·허가와 착공 실적도 줄었다. 1~4월 주..

집사의 부동산 2023.05.31

서울 집값 상승률과 탈서울 인구 ‘쌍둥이 곡선’

최근 5년 새 ‘서울 엑소더스(탈출)’가 가장 심했던 해는 서울 아파트값이 최고로 높았던 2021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급등세를 감당하지 못한 사람들이 서울을 떠난 것으로 풀이된다. 9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통계청의 ‘시군구 전출입지별 이동 건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서울에서 경기도와 인천으로 전입한 수는 40만6975명으로 평년을 웃돌았다. 서울→경기·인천 전입자 숫자는 2018년 26만3000명, 2019년 25만3000명, 2020년에도 28만1000명 수준이었다가 2021년에 40만명대로 급증했다. 그러다 지난해 다시 23만4000명으로 줄었다. 이런 서울 탈출 러시의 원인은 집값 상승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2020년 당시 서울 집값은 역대 처음으로 평균 매매가가..

집사의 부동산 2023.02.10
728x90
반응형
LIST